반응형 전체 글46 지방지역 도로의 구분 지방지역 도로의 구분「도로의 구조 · 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에서 정의하고 있는 지방지역 도로의 구분이란 간단하게 말하여 도시지역 외의 지역의 도로를 말합니다. 하지만 이 구분 방법은 다소 애매하기 때문에 도로의 설계 과정에서는 발주청의 지침이나 설계자의 판단, 그 지역의 조건이나 도로의 연계성 등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먼저 어떤 도로가 갖는 설계의 특성을 충분히 파악하려면, 설계하려는 도로가 통과하는 지역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로의 구조 · 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에서는 도로가 통과하는 지역을 지방지역, 도로 지역 두 가지 지역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지방지역 도로의 구분에서 기능별 특성으로는 자동차 전용도로, 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 .. 2025. 8. 22. 도로의 기능에 따른 도로 구분 도로의 기능에 따른 도로 구분 도로의 기능에 따른 도로 구분이란 해당 도로의 기능에 따라 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로 구분되는 걸 말합니다. 도로의 기능은 접근성과 이동성 이 두 가지 기능을 통해 구분하고, 이동성이 높은 도로가 도로의 기능이 높은 도로가 됩니다. 여기서 이동성이라고 함은 출발점과 도착첨 간을 얼마나 빠르게 통행하였는가 하는 속도와 관련 있습니다. 접근성은 도심 속 업무 단지나 주거 단지와 같은 대규모 교통 유발지역에 얼마나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가 하는 통행 단계와 관련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이러한 도로가 제공하는 두 가지 기능(이동성과 접근성)의 배분과 도로의 기능에 따른 도로를 구분한 결과입니다. 위 그림에 나와있듯이 주간선도로와 보조간선도로는 이동.. 2025. 8. 21. 도로의 구분 도로의 구분도로의 구분이란 법적인 관리 체계에 따른 구분과 도로의 기능 및 사용 형태에 따른 구분 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도로 설계 시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는 도로들을 몇 개의 유형으로 묶은 후, 각각의 유형에 대해 설계 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해당 도로의 효율성과 안전성, 경제성 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이럴 때 몇 개의 유형으로 묶어서 산출한 결과를 도로의 구분이라고 합니다. 도로를 구분하고 난 후 같은 구분의 도로끼리는 보통 도로의 기하구조의 수준이 같습니다. 도로의 구분 단계에서는 국가 도로망의 구축, 교통 특성, 지역의 균형적인 발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도로를 구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도로를 몇 개의 유형으로 묶는 기준은 지역적, 환경적 등의 여러.. 2025. 8. 21. 오늘 하루도 열심히 살았다. 물론 내일은 더 성장하며 살아갈 것이다. 반복된 출근, 야근, 퇴근이지만 사랑하는 우리 와이프와 아들이 있기에 열심히 일하고 치열하게 살았다. 내일도 반복된 일상이 시작되겠지만 내일은 또 다른 하루의 시작이다. 매일 아침 와이프의 따뜻한 미소와 아들의 개구장이 같은 인사로 출근을 하는 나는 행복한 가장이다. 2025. 8. 19. 이전 1 ··· 5 6 7 8 다음 반응형